김포지역 도의원(김시용/이기형/홍원길/오세풍)들은 경기도와 김포시의‘김포-골드라인(김포도시철도)’의 혼잡도 개선 대책을 보고 받고 이와 관련하여‘수요분산과 승객 안전에 대해 실효성 있는 대책이 강구되고 신속 추진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기형의원(경기도의회/건설교통위 부위원장)은 ‘최근 지속 발생하고 있는 김포-골드라인의 승객 호흡곤란 사고는 수요예측을 잘못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책임이 있으므로 관계 당국이 조속히 실효성 있는 대책을 수립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와 경기도, 서울시, 김포시가 중구난방식의 땜질 처방에 나서면 않된다 는 말이다.
최근의 상황을 살펴보면, ‘혼잡도 완화를 위한 단기 대책으로 70번 버스노선의 전세버스 8대의 투입이 경기도와 서울시의 협의로 결정되었고, 역사의 컷팅맨 배치, 버스전용차로제 도입 확대, 수륙양용 버스까지 도입한다.’는 대책안이 발표되었다.
아직 관광용으로 일부 지역에서만 운행 중이고, 대중교통으로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수륙양용 버스’까지 대안으로 내놓은 것은 그만큼 위급하다는 상황판단이지만, 현실성이 없는 대책으로 도를 넘었다는 시민의 우려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경기도는 고촌역에 응급 구조요원과 구급차를 배치하여 승객 혼잡 시 안전 대응이 현장에서 즉시 되도록 하였고, 서울시에 김포공항역사의 구급 인력 배치도 요청하면서 현장 안전 대응에 들어갔다.
또한 김포시와 협의하여, 전세버스 40대 추가투입과 ‘수요 응답형 버스(DRT)’30대 투입안을 추진하고 있다.
김시용 도의원은 ‘김포-골드라인의 혼잡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수요분산도 중요하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소방인력을 배치가 매우 중요하다.’며, 재난 대비 상황 점검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홍원길 도의원은 ‘혼잡시간대에 고촌-풍무-사우 지역 시민들이 출근길 고통에 시달리는 시점에서 수요분산을 위한 대책이 조속히 시행될 수 있도록 의정활동에 전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오세풍 도의원은 ‘골드라인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길을 살펴보고, 부족한 부분은 김포시와 협의하여, 개선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기형 도의원은 ‘ 골드라인 혼잡도 해소 대책이 소속 상임위인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인 만큼, 전세버스 투입, 전용차로제 시행, DRT 등의 사업을 챙기도록 하겠으며, 근본 대책인 서울지하철 5호선의 김포 연장 촉진과 GTX-D의 신속한 추진에 있어서, 경기도 집행기관을 더욱 독려하겠다.’고 말하며, ‘전세버스 투입 외의 대책으로, 서울지하철 9호선 급행열차의 개화역 출발을 대광위에 제안하도록 경기도에 의견 제시하여 수요 검토 착수를 답변 받았다.’고 밝혔다.
18일 오전 발표된 경기도의 골드라인 혼잡도완화 긴급대책은 평균 혼잡도 242%를 200%미만으로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시기별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긴급대책(’23년 4~8월)
○ 4월 24일부터 직행 전세버스 투입 / 7월부터 김포공항으로 가는 수요응답버스(DRT) 순차적 운행
○ 전문안전요원 투입 지하철 승차 인원 제한(컷팅) , 혼잡 지하철역 소방구급요원 배치
○ 사우동~개화역 버스전용차로 김포공항 연장.
□ 단기대책(’24년까지 시행 목표)
○ 김포→ 서울 진입 정체를 해소 김포대로~개화역 구간 2차로 → 3차로 도로 확장
○ ’24년 9월 투입 예정인 6편성(12량) 열차 차량 조기 순차적 투입 추진.
□ 중장기대책(2년 이상 소요)
○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올림픽대로 구간 김포한강로 구간까지 연장 협의(전용차선 확충, 로드지퍼 설치)
○ 5호선 연장 노선 조기 확정, GTX-D 예비타당성조사 신속 추진(국토부 협조 사항)
□ 국토교통부 주관 특별대책 추진 T/F 참여 : 기관 간 협력 제고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주관 경기도·서울시·김포시 참여 T/F 구성·운영 예정
- 긴급대책 위주 현안 해결, 중장기대책 논의 병행, 서울시와 유기적으로 협력 제고
○ 긴급대책 추진을 위해 경기도·김포시(50:50) 예비비 사용 협의 추진
구 분
|
계
|
전세버스
추가 투입
|
DRT
조기 운행
|
전문안전요원 배치
|
사업비(‘23년)
|
32억원
|
10억원
|
18억원
|
4억원
|
|
도비
|
16억원
|
5억원
|
9억원
|
2억원
|
○ 단기·중장기 대책은 사업계획 협의·구체화 이후 예산편성 여부 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