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페이지에서 문의
네이버톡톡
김포한강선, 검단경유 역 3개면 시민들에게...
구름조금 서울 11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2024년11월19일tue
 
티커뉴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OFF
뉴스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 상세보기

커뮤니티

알립니다
독자투고
기사제보
유머마당
맛집이야기
여행갤러리
동영상
칭찬합시다
행사/이벤트
자유게시판
실시간 키워드
源€
諛•吏„
9
9988
3D
源€二쇱˜
諛•
aaa
dfmtls
youtube
源€蹂‘
怨쇱™
5
源€蹂댄˜„
자유게시판은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여론공간입니다.
욕설이나 인신공격 상업적인 글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으며 읨의로 조치될 수 있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1613 유럽 파견 사절 쓰네나가의 세계일주  |  자유게시판 2022-03-27 20:35:43
작성자   조회  1710   |   추천  37
 
 
 
 

             1613    유럽 파견 사절  쓰네나가의 세계일주
 
[ ...... 하세쿠라 쓰네나가는 .... 유럽 파견 사절 자격으로 통상교섭을 위해 180여명을 이끌고 로마로 향했다.

이시노마키(石卷)에서 건조된 갈레온선 산후안 바우티스타 호로 1613년 10월 ... 쓰키노우라를 출발하여 ... 에스파냐를 거쳐 로마에 도착 ........

1615년 1월 ... 에스파냐 국왕 펠리페 3세를, 같은 해 11월 ... 교황 바오로 5세를 알현 .... 1620년 9월 ... 귀국 .......      ]
 

하세쿠라  쓰네나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쓰네나가의 세계일주
 
하세쿠라 쓰네나가(일본어: 支倉 常長, 1571년 ~ 1622년)는 에도시대 초기의 무사이자 센다이번(仙台藩)의 다이묘(大名) 다테 마사무네(伊達政宗)의 가신이다. 게이초(慶長) 유럽파견 사절단을 이끌었으며, 로마에서는 귀족의 예우를 받았다. 일본의 정규 사절로써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대륙에 첫 발을 디딘 인물이며, 프랑스와 일본 간의 관계에 있어서 처음으로 이름을 올린 인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그의 귀국 이후 일본은 쇄국의 길로 접어들었으며, 일본에서 유럽으로의 정규 사절단 파견은 200여년이 지난 1862년에야 다시 이루어졌다. 어릴 적 이름은 요이치(與市), 로쿠에몬 나가쓰네(六右衛門長經), 세례명은 돈 펠리페 프란시스코(Don Felipe Francisco )이다. 유럽쪽 자료에서는 Faxecura Rocuyemon(하세쿠라 로쿠에몬, 支倉六右衛門)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
 
생애​

야마구치 쓰네나리(山口常成)의 아들로써 하세쿠라 도키마사(支倉時正)의 양자로 입적하였다. 그러나 도키마사에게 친아들이 태어나자 주군 다테 마사무네의 명으로 가문의 봉록 1,200석을 둘로 나눠 600석을 갖게 되었다. 임진왜란에 종군하여 조선으로 건너가 아시가루(足輕), 철포대대장(鉄砲組頭)으로 활약하였다. 또한 오사키(大崎)가사이(葛西)의 반란을 진압한 무장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이름을 남겼다.

1609년 전 필리핀총독 돈 로드리고 일행이 누에바 에스파냐(현재의 멕시코)에서 돌아오던 중 태풍을 만나 가즈사 국(上総国) 이와다 촌(岩和田村)의 해안에서 좌초 난파되었다. 지역주민에게 구조된 일행에게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윌리엄 애덤스가 건조한 갈레온선을 선물하여 이들을 누에바 에스파냐로 송환시켜 주었다. 이 일을 계기로 일본과 에스파냐 사이에 교류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다테 마사무네의 명령을 받아, 하세쿠라 쓰네나가는 에스파냐인인 프란시스코회 선교사 루이스 소테로(Luis Sotelo)를 정사로 자신은 부사가 되어, 유럽 파견 사절 자격으로 통상교섭을 위해 180여명을 이끌고 로마로 향했다. 이시노마키(石卷)에서 건조된 갈레온선 산후안 바우티스타 호로 1613년 10월 28일(음력 9월15일)에 쓰키노우라를 출발하여 누에바 에스파냐의 태평양 연안의 도시 아카풀코로 향했다. 아카풀코에서 육로로 대서양 연안의 베라크루스로 이동하여 베라크루스에서 대서양을 건너 에스파냐를 거쳐 로마에 도착했다.

1615년 1월 30일(음력 1월 2일) 에스파냐 국왕 펠리페 3세를, 같은 해 11월 3일(음력 9월 12일)에는 교황 바오로 5세를 알현하였으나, 통상교섭에는 성공하지 못하고 1620년 9월 20일(음력 8월 24일)에 귀국하였다.

다테 마사무네의 기대 하에 출발한 그였지만 그가 일본을 떠난 직후부터 일본 기독교의 주위여건은 급속히 악화되어 갔다. 하세쿠라가 일본에 돌아오고 나서의 처우에 관해 걱정한 다테 마사무네의 친필 편지가 남아있다. 얼마 후 그가 귀국하였을 때 이미 일본에는 기독교 금교령이 내려져 있었고, 하세쿠라 쓰네나가는 실의 속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1640년 아들 쓰네요리(常頼)는 하인이 기독교 신자라는 까닭으로 처형당하고 그의 가문은 단절 당하였다.

1668년 쓰네요리의 아들 쓰네노부(常信)의 대에 이르러서야 사면을 받고 가문의 이름을 다시 일으킬 수 있었다.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갖고 돌아온 "게이초(慶長) 유럽 파견 사절단 관계 자료"는 센다이시 박물관에 소장되어 2001년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 중에는 쓰네나가의 초상화가 있는데, 일본인을 그린 유화로써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료 속에서 그의 이름 하세쿠라를 faxikura라고 표기한 것을 통해 ハ행(현대 일본어에서는 ha hi fu he ho로 발음)을 입술소리(fa fi fu fe fo)로 발음하였다는 증거가 되었다. 또한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유럽방문중에 쓴 일기가 1812년까지 현존하였으나, 현재는 사라져 찾을 수 없다.

코리아 델 리오와  하세쿠라 쓰네나가​

하세쿠라의 유럽파견 사절단은 에스파냐 남서부의 도시 세비야 부근의 코리아 델 리오(Coria Del Río)에 오래 머물렀었다. 이 작은 포구에는 하네쿠라 쓰네나가를 기념하는 동상이 세워져있다. 또한, 이 마을에는 하폰(Japón/Xapón=일본)이라는 성을 쓰는 사람이 수백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는 하네쿠라의 사절단 가운데 일본에 돌아가지 않고 현지에 잔류한 일본인 기독교 신자나 현지인 선원, 그 지원자들의 자손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
 
 
 
 

           1604   Japan's first Western-style sailing ship
 
           1860   the Kanrin Maru was sailed to the United States by a group of Japanese
           1863   Japan completed her first domestically-built steam warship, the Chiyodagata
           1869   Japan acquired its first ocean-going ironclad warship, the Kōtetsu
 
 
[ ...... Some Japanese are known to have travelled abroad on foreign ships as well, such as Christopher and Cosmas who crossed the Pacific on a Spanish galleon as early as 1587, and then sailed to Europe with Thomas Cavendish. ...........
 
In 1604, Shōgun Tokugawa Ieyasu ordered William Adams and his companions to build Japan's first Western-style sailing ship at Itō ........   

In 1613, the daimyō of Sendai, in agreement with the Tokugawa shogunate, built Date Maru, a 500-ton galleon-type ship that transported a Japanese embassy to the Americas, and then continued to Europe. .........     ]
 

[ ...... Three months after Perry's first visit in 1853 ..... started organizing the construction of a fleet of Western-style sail warships, such as the Hōō Maru, the Shōhei Maru or the Asahi Maru, usually asking each fief to build their own modern ships. These ships were built using Dutch sailing manuals, and the know-how of a few returnees from the West, such as Nakahama Manjirō. Also with the help of Nakahama Manjirō, the Satsuma fief built Japan's first steam ship, the Unkoumaru (雲行丸) in 1855. .........      ]
 
[ ...... In 1855, with Dutch assistance, the shogunate acquired its first steam warship, the Kankō Maru, which was used for training, and established the Nagasaki Naval Training Center. In 1857, it acquired its first screw-driven steam warship, the Kanrin Maru.

In 1860, the Kanrin Maru was sailed to the United States by a group of Japanese, with the assistance of a single US Navy officer John M. Brooke, to deliver the first Japanese embassy to the United States.

Naval students were sent abroad to study Western naval techniques. .........

In 1863, Japan completed her first domestically-built steam warship, the Chiyodagata, a 140-ton gunboat ......     ]
 

[ ...... In 1869, Japan acquired its first ocean-going ironclad warship, the Kōtetsu, ordered by the Bakufu but received by the new Imperial government, barely ten years after such ships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West with the launch of the French La Gloire. ........    ]
 
[  ..... The Meiji government issued its First Naval Expansion bill in 1882 .......

In 1886, the leading French Navy engineer Émile Bertin was hired for four years to reinforce the Japanese Navy, and to direct the construction of the arsenals of Kure and Sasebo. He developed the Sankeikan class of three cruisers ........     ]
 
 
Naval history of Japa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European contacts​

Main article: Nanban trade period
 
The first Europeans reached Japan in 1543 on Chinese junks, and Portuguese ships started to arrive in Japan soon after. At that time, there was already trade exchanges between Portugal and Goa (since around 1515), consisting in 3 to 4 carracks leaving Lisbon with silver to purchase cotton and spices in India. Out of these, only one carrack went on to China in order to purchase silk, also in exchange for Portuguese silver. Accordingly, the cargo of the first Portuguese ships (usually about 4 smaller-sized ships every year) arriving in Japan almost entirely consisted of Chinese goods (silk, porcelain). The Japanese were very much looking forward to acquiring such goods, but had been prohibited from any contacts with by the Emperor of China, as a punishment for wakō pirate raids. The Portuguese (who were called Nanban, lit. Southern Barbarians) therefore found the opportunity to act as intermediaries in Asian trade.

 
From the time of the acquisition of Macau in 1557, and their formal recognition as trade partners by the Chinese, the Portuguese started to regulate trade to Japan, by selling to the highest bidder the annual "captaincy" (ito wappu) to Japan, in effect conferring exclusive trading rights for a single carrack bound for Japan every year. The carracks were very large ships, usually between 1000 and 1500 tons, about double or triple the size of a large galleon or junk.
 
That trade continued with few interruptions until 1638, when it was prohibited on the grounds that the priests and missionaries associated with the Portuguese traders were perceived as posing a threat to the shogunate's power and the nation's stability.

Portuguese trade was progressively more and more challenged by Chinese smugglers, Japanese Red Seal Ships from around 1592 (about ten ships every year), Spanish ships from Manila from around 1600 (about one ship a year), the Dutch from 1609, and the English from 1613 (about one ship per year). Some Japanese are known to have travelled abroad on foreign ships as well, such as Christopher and Cosmas who crossed the Pacific on a Spanish galleon as early as 1587, and then sailed to Europe with Thomas Cavendish.
 
The Dutch, who, rather than Nanban were called Kōmō (紅毛), lit. "Red Hair" by the Japanese, first arrived in Japan in 1600, on board the Liefde. Their pilot was William Adams, the first Englishman to reach Japan. In 1605, two of the Liefde's crew were sent to Pattani by Tokugawa Ieyasu, to invite Dutch trade to Japan. The head of the Pattani Dutch trading post, Victor Sprinckel, refused on the grounds that he was too busy dealing with Portuguese opposition in Southeast Asia. In 1609, however, the Dutchman Jacques Specx arrived with two ships in Hirado, and through Adams obtained trading privileges from Ieyasu.
 
The Dutch also engaged in piracy and naval combat to weaken Portuguese and Spanish shipping in the Pacific, and ultimately became the only Westerners to be allowed access to Japan. For two centuries beginning in 1638, they were restricted to the island of Dejima in Nagasaki harbor.
.............................................................................................

Oceanic trade  (16th–17th century)​
 
Japan built her first large ocean-going warships at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following contacts with the Western nations during the Nanban trade period.
 
William Adams​

Main article: William Adams (sailor, born 1564)

In 1604, Shōgun Tokugawa Ieyasu ordered William Adams and his companions to build Japan's first Western-style sailing ship at Itō, on the east coast of the Izu Peninsula. An 80-ton vessel was completed and the shōgun ordered a larger ship, 120 tons, to be built the following year (both were slightly smaller than the Liefde, the ship in which William Adams came to Japan, which was 150 tons). According to Adams, Ieyasu "came aboard to see it, and the sight whereof gave him great content". The ship, named San Buena Ventura, was lent to shipwrecked Spanish sailors for their return to Mexico in 1610.
 
Hasekura Tsunenaga​
Main article: Hasekura Tsunenaga
 
In 1613, the daimyō of Sendai, in agreement with the Tokugawa shogunate, built Date Maru, a 500-ton galleon-type ship that transported a Japanese embassy to the Americas, and then continued to Europe.
..........................................................................................
Seclusion (1640–1840)​
Main article: Sakoku
 
The Dutch's cooperation on these, and other matters, would help ensure they were the only Westerners allowed in Japan for the next two centuries. Following these events, the shogunate imposed a system of maritime restrictions (海禁, kaikin), which forbade contacts with foreigners outside of designated channels and areas, banned Christianity, and prohibited the construction of ocean-going ships on pain of death. The size of ships was restricted by law, and design specifications limiting seaworthiness (such as the provision for a gaping hole in the aft of the hull) were implemented. Sailors who happened to be stranded in foreign countries were prohibited from returning to Japan on pain of death.

A tiny Dutch delegation in Dejima, Nagasaki was the only allowed contact with the West, from which the Japanese were kept partly informed of west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s, establishing a body of knowledge known as Rangaku. Extensive contacts with Korea and China were maintained through the Tsushima Domain, the Ryūkyū Kingdom under Satsuma's dominion, and the trading posts at Nagasaki. The Matsumae Domain on Hokkaidō managed contacts with the native Ainu peoples, and with Imperial Russia.

Many isolated attempts to end Japan's seclusion were made by expanding Western powers during the 19th century. American, Russian and French ships all attempted to engage in relationship with Japan, but were rejected.

These largely unsuccessful attempts continued until, on July 8, 1853, Commodore Matthew Perry of the U.S. Navy with four warships: Mississippi, Plymouth, Saratoga, and Susquehanna steamed into the Bay of Edo (Tokyo) and displayed the threatening power of his ships' Paixhans guns. He demanded that Japan open to trade with the West. These ships became known as the kurofune, or Black Ships.

Barely one month after Perry, the Russian Admiral Yevfimy Putyatin arrived in Nagasaki on August 12, 1853. He made a demonstration of a steam engine on his ship the Pallada, which led to Japan's first manufacture of a steam engine, created by Tanaka Hisashige.

The following year, Perry returned with seven ships and forced the shōgun to sign the "Treaty of Peace and Amity", establishing formal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known as the Convention of Kanagawa (March 31, 1854). Within five years Japan had signed similar treaties with other western countries. The Harris Treaty was signed with the United States on July 29, 1858. These treaties were widely regarded by Japanese intellectuals as unequal, having been forced on Japan through gunboat diplomacy, and as a sign of the West's desire to incorporate Japan into the imperialism that had been taking hold of the continent. Among other measures, they gave the Western nations unequivocal control of tariffs on imports and the right of extraterritoriality to all their visiting nationals. They would remain a sticking point in Japan's relations with the West up to the start of the 20th century.
 
Modernization: Bakumatsu period (1853–1868)​

 
The study of Western shipbuilding techniques resumed in the 1840s. This process intensified along with the increased activity of Western shipping along the coasts of Japan, due to the China trade and the development of whaling.

From 1852, the government of the shōgun (the Late Tokugawa shogunate or "Bakumatsu") was warned by the Netherlands of the plans of Commodore Perry. Three months after Perry's first visit in 1853, the Bakufu cancelled the law prohibiting the construction of large ships (大船建造禁止令), and started organizing the construction of a fleet of Western-style sail warships, such as the Hōō Maru, the Shōhei Maru or the Asahi Maru, usually asking each fief to build their own modern ships. These ships were built using Dutch sailing manuals, and the know-how of a few returnees from the West, such as Nakahama Manjirō. Also with the help of Nakahama Manjirō, the Satsuma fief built Japan's first steam ship, the Unkoumaru (雲行丸) in 1855.[14] The Bakufu also established defensive coastal fortifications, such as at Odaiba.
 
Birth of a modern navy​
 
As soon as Japan agreed to open up to foreign influence, the Tokugawa shōgun government initiated an active policy of assimilation of Western naval technologies. In 1855, with Dutch assistance, the shogunate acquired its first steam warship, the Kankō Maru, which was used for training, and established the Nagasaki Naval Training Center. In 1857, it acquired its first screw-driven steam warship, the Kanrin Maru.

In 1860, the Kanrin Maru was sailed to the United States by a group of Japanese, with the assistance of a single US Navy officer John M. Brooke, to deliver the first Japanese embassy to the United States.

Naval students were sent abroad to study Western naval techniques. The Bakufu had initially planned on ordering ships and sending students to the United States, but the American Civil War led to a cancellation of plans. Instead, in 1862 the Bakufu placed its warship orders with the Netherlands and decided to send 15 trainees there. The students, led by Uchida Tsunejirō (内田恒次郎), left Nagasaki on September 11, 1862, and arrived in Rotterdam on April 18, 1863, for a stay of 3 years. They included such figures as the future Admiral Enomoto Takeaki, Sawa Tarosaemon (沢太郎左衛門), Akamatsu Noriyoshi (赤松則良), Taguchi Shunpei (田口俊平), Tsuda Shinichiro (津田真一郎) and the philosopher Nishi Amane. This started a tradition of foreign-educated future leaders such Admirals Tōgō and, later, Yamamoto.

In 1863, Japan completed her first domestically-built steam warship, the Chiyodagata, a 140-ton gunboat commissioned into the Tokugawa Navy (Japan's first steamship was the Unkoumaru -雲行丸- built by the fief of Satsuma in 1855). The ship was manufactured by the future industrial giant, Ishikawajima, thus initiating Japan's efforts to acquire and fully develop shipbuilding capabilities.

Following the humiliations at the hands of foreign navies in the Bombardment of Kagoshima in 1863, and the Battle of Shimonoseki in 1864, the shogunate stepped up efforts to modernize, relying more and more on French and British assistance. In 1865, the French naval engineer Léonce Verny was hired to build Japan's first modern naval arsenals, at Yokosuka and Nagasaki. More ships were imported, such as the Jho Sho Maru, the Ho Sho Maru and the Kagoshima, all commissioned by Thomas Blake Glover and built in Aberdeen.

By the end of the Tokugawa shogunate in 1867, the Japanese navy already possessed eight Western-style steam warships around the flagship Kaiyō Maru which were used against pro-imperial forces during the Boshin War, under the command of Admiral Enomoto. The conflict culminated with the Naval Battle of Hakodate in 1869, Japan's first large-scale modern naval battle.

In 1869, Japan acquired its first ocean-going ironclad warship, the Kōtetsu, ordered by the Bakufu but received by the new Imperial government, barely ten years after such ships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West with the launch of the French La Gloire.
 
Meiji restoration (1868): creation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Main article: Imperial Japanese Navy
 
The Imperial Japanese Navy (IJN) (Japanese: 大日本帝国海軍) was the navy of Japan between 1868 and until 1945, when it was dissolved following Japan's defeat and surrender in World War II.

From 1868, the restored Meiji Emperor continued with reforms to industrialize and militarize Japan in order to prevent it from being overwhelmed by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powers. The Imperial Japanese Navy was formally established in 1869. The new government drafted a very ambitious plan to create a Navy with 200 ships, organized into 10 fleets, but the plan was abandoned within a year due to lack of resources. Internally, domestic rebellions, and especially the Satsuma Rebellion (1877) forced the government to focus on land warfare. Naval policy, expressed by the slogan Shusei Kokubō (守勢国防, "Static Defense"), focused on coastal defenses, a standing army, and a coastal Navy, leading to a military organization under the Rikushu Kaiju (Jp:陸主海従, Army first, Navy second) principle.

During the 1870s and 1880s, the Japanese Navy remained an essentially coastal defense force, although the Meiji government continued to modernize it. In 1870 an Imperial decree determined that the British Navy should be the model for development, and the second British naval mission to Japan, the Douglas Mission (1873–79) led by Archibald Lucius Douglas laid the foundations of naval officer training and education. (See Ian Gow, 'The Douglas Mission (1873–79) and Meiji Naval Education' in J. E. Hoare ed., Britain & Japan: Biographical Portraits Volume III, Japan Library 1999.) Tōgō Heihachirō was trained by the British navy.
 
During the 1880s, France took the lead in influence, due to its "Jeune École" doctrine favoring small, fast warships, especially cruisers and torpedo boats, against bigger units. The Meiji government issued its First Naval Expansion bill in 1882, requiring the construction of 48 warships, of which 22 were to be torpedo boats. The naval successes of the French Navy against China in the Sino-French War of 1883–85 seemed to validate the potential of torpedo boats, an approach which was also attractive to the limited resources of Japan. In 1885, the new Navy slogan became Kaikoku Nippon (海国日本, "Maritime Japan").
 
In 1886, the leading French Navy engineer Émile Bertin was hired for four years to reinforce the Japanese Navy, and to direct the construction of the arsenals of Kure and Sasebo. He developed the Sankeikan class of three cruisers, which are named after Three Views of Japan, featuring a single but powerful main gun, the 12.6 inch Canet gun.

This period also allowed Japan to adopt new technologies such as torpedoes, torpedo-boats and mines, which were actively promoted by the French Navy (Howe, p281). Japan acquired its first torpedoes in 1884, and established a "Torpedo Training Center" at Yokosuka in 1886.
 

Sino-Japanese War​
 
Japan continued the modernization of its navy, especially as China was also building a powerful modern fleet with foreign, especially German, assistance, and the pressure was build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take control of Korea. The Sino-Japanese war was officially declared on August 1, 1894, though some naval fighting had already taken place.
 
The Japanese navy devastated Qing's northern fleet off the mouth of the Yalu River at the Battle of Yalu River on September 17, 1894, in which the Chinese fleet lost 8 out of 12 warships. Although Japan turned out victorious, the two large German-made battleships of the Chinese Navy remained almost impervious to Japanese guns, highlighting the need for bigger capital ships in the Japanese Navy (the Ting Yuan was finally sunk by torpedoes, and the Chen-Yuan was captured with little damage). The next step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s expansion would thus involve a combination of heavily armed large warships, with smaller and innovative offensive units permitting aggressive tactics.
 
The Imperial Japanese Navy further intervened in China in 1900, by participating together with Western Powers to the suppression of the Chinese Boxer Rebellion. The Navy supplied the largest number of warships (18, out of a total of 50 warships), and delivered the largest contingent of Army and Navy troops among the intervening nations (20,840 soldiers, out of total of 54,000).
 
Russo-Japanese War​
 
Following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the humiliation of the forced return of the Liaotung peninsula to China under Russian pressure (the "Triple Intervention"), Japan began to build up its military strength in preparation for further confrontations. Japan promulgated a ten-year naval build-up program, under the slogan "Perseverance and determination" (Jp:臥薪嘗胆, Gashinshoutan), in which it commissioned 109 warships, for a total of 200,000 tons, and increased its Navy personnel from 15,100 to 40,800.

These dispositions culminated with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The Japanese battleship Mikasa was the flagship of Admiral Tōgō Heihachirō. At the Battle of Tsushima, the Mikasa led the combined Japanese fleet into what has been called "the most decisive naval battle in history".[8] The Russian fleet was almost completely annihilated: out of 38 Russian ships, 21 were sunk, 7 captured, 6 disarmed, 4,545 Russian servicemen died and 6,106 were taken prisoner.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only lost 117 men and 3 torpedo boats.
 
World War II​

Main article: Naval history of World War II
 
A6M3 Zero Model 22, flown by Japanese ace Hiroyoshi Nishizawa over the Solomon Islands, 1943
In the years before World War II the IJN began to structure itself specifically to fight the United States. A long stretch of militaristic expansion and the start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1937 had alienated the United States, and the country was seen as a rival of Japan.

To achieve Japan’s expansionist policies, the Imperial Japanese Navy also had to fight off the largest navies in the world (The 1922 Washington Naval Treaty allotted a 5/5/3 ratio for the navies of Great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he was therefore numerically inferior and her industrial base for expansion was limited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Her battle tactics therefore tended to rely on technical superiority (fewer, but faster, more powerful ships), and aggressive tactics (daring and speedy attacks overwhelming the enemy, a recipe for success in her previous conflicts). The Naval Treaties also provided an unintentional boost to Japan because the numerical restrictions on battleships prompted them to build more aircraft carriers to try to compensate for the United States' larger battleship fleet[citation needed].
 
The Imperial Japanese Navy was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the Navy of Japan and controlled by the Chief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General Staff at Imperial General Headquarters. In order to combat the numerically superior American navy, the IJN devoted large amounts of resources to creating a force superior in quality to any navy at the time. Consequently, at the beginning of World War II, Japan probably had the most sophisticated Navy in the world.[9] Betting on the speedy success of aggressive tactics, Japan did not invest significantly on defensive organization such as protecting her long shipping lines against enemy submarines, which she never managed to do, particularly under-investing in anti-submarine escort ships and escort aircraft carriers.
 
The Japanese Navy enjoyed spectacular success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hostilities, but American forces ultimately managed to gain the upper hand through decrypting the Japanese naval codes, exploiting the aforementioned Japanese neglect of fleet defense, technological upgrades to its air and naval forces, superior personnel management such as routinely reassigning accomplished combat pilots to provide experienced training of new recruits, and a vastly stronger industrial output. Japan's reluctance to use their submarine fleet for commerce raiding and failure to secure their communications also added to their defeat. During the last phase of the war the Imperial Japanese Navy resorted to a series of desperate measures, including Kamikaze (suicide) actions, which ultimately not only proved futile in repelling the Allies, but encouraged those enemies to use their newly developed atomic bombs to defeat Japan without the anticipated costly battles against so fanatical a defence.

..........................................................................................................................
 
 
 

 
1891   [   일본건조  4,347 t 방호순양함 하시다테  진수   ]
 
하시다테  (방호순양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시다테(橋立)는 일본해군의 방호순양함이다. 마쓰시마형 방호순양함 3번함이다. 마쓰시마형 방호순양함 중 유일하게 일본 내에서 제작된 순양함이다. 자매함(마쓰시마, 이쓰쿠시마)과 같이 이 배의 이름도 일본 삼경에서 따왔다.
 
개요​

마쓰시마형 방호순양함 3척 가운데, 유일하게 일본에서 제작한 일본산 함정이다. 일본 해군은 어떻게 해서든 주요 함정을 국산화시키려고 했던 강한 의지가 있었지만, 당시의 일본의 기술력으로는 여전히 어려움이 많았다. 결과적으로, 건조 기간이 다른 2척보다 길었고, 청일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에 준공할 수 있었다. 일설에는, 이 하시다테의 준공을 기다려 전쟁을 시작했다는 주장도 있다.

주포인 32cm 단장포가 앞부분 갑판에 거치되어 ‘순양함 이쓰쿠시마’와 함의 외형이 닮았지만, 부포 이하의 무장 장비는 약간 달랐다.

청일 전쟁에서는 동급 함정인 마쓰시마, 이쓰쿠시마와 함께 분전하여 청나라 북양함대를 격파하는데 일조하였고, 러일전쟁에서는, 마쓰시마, 이쓰쿠시마, 그리고 과거 청나라 해군의 주력으로 적수였던 철갑함 진원 3척과 함께 제3함대 제5전대를 구성하였고, 이 5전대의 기함으로 활약했다.
 
   약력​

1888년 8월 6일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
1891년 3월 24일 진수식
1894년 6월 26일 준공  8월 1일 청일전쟁 발발, 연합함대 본대 배속
9월 17일  황해해전 참가

1895년 2월 웨이하이웨이공격 종료, 청나라 항복
1898년 3월 21일 2등순양함으로 재분류
1904년 2월 10일 러일 전쟁 발발, 제3함대 제5전대 기함
1905년 5월 27일 - 28일 쓰시마 해전 참가
1912년 8월 28일 2등해방함으로 재분류
1922년 4월 1일 잡역선(연습선)
1925년 12월 25일 퇴역
1927년 해체
...........................................................................................................
 
 
 
     1894

아키쓰시마 (방호순양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키츠시마(秋津島)는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이다. 설계부터 건조까지 모두 최초로 일본 내에서 제작된 순양함이다.
 
개요​

아키츠시마는 원래는 마쓰시마형 방호순양함 4번함으로 계획되었다가, 중간에 건조를 중단하고 재설계한 전혀 다른 함으로서, 일본 해군에서 설계하고, 일본에서 건조된 최초의 함이다. 타입 쉽으로 미국 해군의 방호순양함 ‘볼티모어’를 모방했다.

아키츠시마의 무장은 일본이 영국 기업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암스트롱 1892년형 15.2cm 40구경 속사포’를 채택했다. 이 포는 영국 전노급전함 ‘로얄사브린급’나 이탈리아의 전노급전함 ‘레움베르토급’의 부포에도 채용하고 있었던 우수한 포였다. 성능은 45.3kg의 포탄을 최대 앙각 15도에서 9,140m까지 사거리까지 발사할 수 있었다. 이 포를 방순이 달린 단장포가에서 뱃전에 쌍으로 배치하고, 편현에 2개씩 총 4개를 배치했다. 부앙 능력은 앙각 15도, 부각 3도이다. 회전 각도는 뱃전 방향을 0 °로 좌우 150도 선회 각도를 가진 포신의 부앙, 포탑의 선회 포탄의 양탄, 장전은 주로 인력을 필요로 했다. 발사 속도는 분당 5 ~ 7발로 빨랐다.

그밖에 대어뢰정 요격용으로 ‘암스트롱 1894년형 12cm 40구경 단장속사포’를 방순이 달린 단장포가에서 함수, 갑판에 1개씩과 현측 중심부에 편현에 2개씩 총 6개를 배치했다. 근접전투용으로는 이 시대의 군함에 널리 채택된 프랑스의 오치키스 사의 ‘오치키스 4.7cm 40구경 기계포’를 단장포가에서 8개를 장착했다. 대함 공격용으로 35.6cm 어뢰발사관을 총 4기를 갖추고 있었다.
 
함 경력​

1890년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했고, 1894년 3월 31일에 준공되어 제1종에 편입되었다.
1894년 청일 전쟁에서 풍도 해전, 황해 해전, 다롄, 뤼순, 웨이하이웨이, 펑후 섬 공략 작전 등에 참가.
1898년 3월 21일, 삼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 같은 해 5월 9일 스페인-미국 전쟁으로 일본인 보호를 위해 마닐라에 파견되었다.
1900년 6월부터 10월까지 의화단의 난으로 즈푸(芝罘) 경계를 담당했다.
1904년 러일 전쟁 때에는 여순 공략전, 황해 해전, 쓰시마 해전, 사할린 작전 등에 참가.
1912년 8월 28일, 이등 해방함으로 등급이 변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칭다오 공략전에 참전을 했고, 필리핀, 싱가포르 방면의 경계 활동을 담당했다.
1921년 4월 30일 특무정에 편입된 잠수함 모정으로 분류되어, 요코스카에서 사용되었다.
1927년 1월 10일에 퇴역하고, 같은 해 7월 29일에 매각되어 요코스카에서 해체되었다.

...........................................................................................................................................
 
 
 
 
              1922     항공모함  호쇼
 
[ ...... 처음부터 항모로서 설계, 착공, 진수되어 실전 배치된  세계 최초의 항공모함은  1922년에 취역한 일본의 호쇼이다. .........       ]
 
항공모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역사

1916년 영국 해군이 순양전함 MS 퓨리어스를 고쳐서 만든 것이 개조 항모로는 최초이지만, 평갑판을 채용한 최초의 현대적 항공모함이라 할 수 있는 것은 HMS 아거스이다. 처음부터 항모로서 설계, 착공, 진수되어 실전 배치된 세계 최초의 항공모함은 1922년에 취역한 일본의 호쇼이다.

항공기를 이용한 공격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각국의 선구적인 군인들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로 제창되었으며, 기술적으로 놀라운 발전을 이룬 항공기는 당연히 모든 함정에게 두려운 존재로 떠오르게 된다. 거함거포주의 사상 아래에서 대개의 국가들은 함대를 엄호/공격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항공모함을 준비하였으나, 일본 제국 해군 일부에서는 태평양에서의 제해권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적인 항공모함 운용전략을 세우고 항공모함 전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태평양에서 벌어진 미국과 일본의 전쟁은 일본 제국 해군 항공모함에서 발진한 공격부대가 진주만을 기습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항모기동전술의 시작임), 미 해군은 이때 살아남은 항공모함 전력을 이용해 일본에 대한 반격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태평양에서 벌어진 대부분의 해전에서 미 해군과 일본 제국 해군 간의 승패는 누가 상대방 항공모함을 먼저 발견해서 격파하느냐에 달려 있었다. 따라서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하는 기동 부대가 수백 해리의 거리를 두고 탑재한 항공기를 날려 싸우는 형태가 되었고 전함은 해전에서 부차적 존재로 격하되었다.
........................................................................................................
 
 
 
             1941

 [  ...... 일본 제국 해군 항공모함에서 발진한 공격부대가 진주만을 기습함으로써 시작 ........    ]
 
..........................................................................................................
항공기를 이용한 공격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각국의 선구적인 군인들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로 제창되었으며, 기술적으로 놀라운 발전을 이룬 항공기는 당연히 모든 함정에게 두려운 존재로 떠오르게 된다. 거함거포주의 사상 아래에서 대개의 국가들은 함대를 엄호공격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항공모함을 준비하였으나, 일본 제국 해군 일부에서는 태평양에서의 제해권을 확보하기 위해 선구적인 항공모함 운용전략을 세우고 항공모함 전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였다.[출처 필요]
태평양에서 벌어진 미국과 일본의 전쟁은 일본 제국 해군 항공모함에서 발진한 공격부대가 진주만을 기습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항모기동전술의 시작임), 미 해군은 이때 살아남은 항공모함 전력을 이용해 일본에 대한 반격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태평양에서 벌어진 거의 모든 해전에서 미 해군과 일본 제국 해군 간의 승패는 누가 상대방 항공모함을 먼저 발견해서 격파하느냐에 달려 있었다.
.....................................................................................................
 
 

[ ...... Japan started the war with ten aircraft carriers, the largest and most modern carrier fleet in the world at that time. ........

  ....... the 1941 Japanese surprise attack on Pearl Harbor ...... Concentrating six carriers in a single striking unit marked a turning point in naval history ........     ]
 
..........................................................................................................
Many of the major battles in the Pacific Ocean involved aircraft carriers. Japan started the war with ten aircraft carriers, the largest and most modern carrier fleet in the world at that time. There were six American aircraft carriers at the beginning of the hostilities, although only three of them were operating in the Pacific.

Drawing on the 1939 Japanese development of shallow-water modifications for aerial torpedoes and the 1940 British aerial attack on the Italian fleet at Taranto, the 1941 Japanese surprise attack on Pearl Harbor was a clear illustration of the power projection capability afforded by a large force of modern carriers. Concentrating six carriers in a single striking unit marked a turning point in naval history, as no other nation had fielded anything comparable.
 
Four US Navy carriers right after the war, showing size and length differences: Saratoga (bottom), an early battlecruiser conversion; Enterprise (2nd from bottom), an early fleet carrier; Hornet (3rd from bottom), a war-time built Essex-class carrier; and San Jacinto (top), a light carrier based on a cruiser hull.
Meanwhile, the Japanese began their advance through Southeast Asia, and the sinking of Prince of Wales and Repulse by Japanese land-based aircraft drove home the need for this ship type for fleet defence from aerial attack.
In April 1942, the Japanese fast carrier strike force ranged into the Indian Ocean and sank shipping, including the damaged and undefended carrier HMS Hermes. Smaller Allied fleets with inadequate aerial protection were forced to retreat or be destroyed. The Doolittle Raid (bombers from a U.S. carrier attacking Toyko) forced the recall of the Japanese strike force to home waters. In the Coral Sea, US and Japanese fleets traded aircraft strikes in the first battle where neither side's ships sighted the other, and carriers fought each other for the first time. At the Battle of Midway all four Japanese carriers engaged were sunk by planes from three American carriers (one of which was lost); the battle is considered the turning point of the war in the Pacific. Notably, the battle was orchestrated by the Japanese to draw out American carriers that had proven very elusive and troublesome to the Japanese.

Subsequently the US was able to build up large numbers of aircraft aboard a mixture of fleet, light and (newly commissioned) escort carriers, primaril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Essex class in 1943. These ships, around which were built the fast carrier task forces of the 3rd and 5th Fleets, played a major part in winning the Pacific war. The Battle of the Philippine Sea in 1944 was the largest aircraft carrier battle in history and the decisive naval battle of World War II.

The reign of the battleship as the primary component of a fleet finally came to an end when U.S. carrier-borne aircraft sank the largest battleships ever built, the Japanese super battleships Yamato in 1944 and Musashi in 1945. Japan built the largest aircraft carrier of the war: Shinano, which was a Yamato-class ship converted before being halfway completed in order to counter the disastrous loss of four fleet carriers at Midway. She was sunk by the patrolling US submarine Archer-Fish while in transit shortly after commissioning, but before being fully outfitted or operational, in November 1944.
..............................................................................................................
 
 
 
 

           *****
 
1964.10.16. 중공 원폭 실험 성공
1967.6.17.   중공 수소폭탄 실험 성공

1969.7.25.   괌에서 닉슨 독트린  발표 . 
1970.2.       국회에 보낸 외교교서를 통하여 닉슨독트린을 세계에 선포.
..................................................................................................
3. 핵공격 이외의 공격에 대해서는 당사국이 그 1차적 방위 책임을 져야 하고 미국은 군사 및 경제원조만 제공한다.
.........................................................................................................

1970.2.18.  미국 외교백서, ".... (2) 당사국은 美 지상군 병력의 지원을 기대하지 말고, 제1차적 방위 책임을 져야 한다" ...."
 
 
 
 
 
  *   1972.11.     최초의 국산고속정  학생호
  *   1978.9.26.   朴대통령 서산에서 고대하던 국산 유도탄(미사일) 발사 참관
  *   1980.4.8.    1500t  울산함   최초 국산전투함
  *   1998.7.       3200t  광개토대왕함  취역
  *   1978          고리 원자력발전소
 
 

        *
1974년 3월 2일부터 1985년까지  대우정밀에서  M16 A1(콜트 모델 603K) 면허 생산

        *
1880년 일본  메이지 13년식 무라다(村田)총 개발.
 
 
 
 

                   *

              1978.9.26.     유도탄 시험발사 성공
 

[ ...... 적중하는 광경을 컴퓨터 스크린으로 지켜본 젊은 연구진들이 서로 얼싸안고 울었다 ......
   우리도 ... 감명과 실오라기만한 틈새도 없는 공감을 함께 .......
   모두 우리 손으로 설계하고 제작했다.

우리의 국산 유도탄 시험발사 성공에 일본 언론계를 비롯한 외신들이 즉각적인 반응을 .........      ]
 
[ ...... 국가발전 추세에 대한 국민의 자신감이 획기적으로 고무되었다 .........     ]
 
1978.9.28.    조선일보  사설
 
    사설

  유도병기의 개발성공
- 평화의 이정을 앞당기는 감명의 개가
 

1

자주국방과 안보에 대한 국민적 자신감이 또 한단계 높아졌다. 현대 무기의 첨단으로 일컬어지는 고도 정밀 유도병기인 유도탄 순전히 우리의 손으로 개발되어 그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26일 박대통령 임석아래 실시된 국산유도탄 시험발사 성공광경을 보도하면서 보도진은 지각을 찢는 폭음과 함께 한치의 오차도 없이 유도탄은 수직으로 목표물에 명중했다고 전했다. 특히 장거리 유도탄이 1단계 로키트를 떼어내고 2단계 로키트를 점화, 눈 깜작할 사이에 시야를 벗어나 정확하게 궤도를 비행한 다음, 목표물에 적중하는 광경을 컴퓨터 스크린으로 지켜본 젊은 연구진들이 서로 얼싸안고 울었다고 또한 전했다. 우리도 그 장소에 있어서 모든 광경을 지켜본 것이나 다름 없는 감명과 실오라기만한 틈새도 없는 공감을 함께  가지게 된다. 40세 안팎의 젊은 연구진이 어찌 감격의 눈물을 흘리지 않았겠는가. 그들 젊은 과학도들의 두뇌와 손과 국가에 대한 충성과 애정이 그것을 성공시키는 기술책임을 맡았었고, 그리고 마침내 개가를 올린 것이다.

이날 시험발사에는  장거리 지대지 유도탄을 필두로 중거리 유도탄, 쉴 새 없이 적진을 강타하는 다련장로키트, 대전차 로키트 등이 등장했다. 이들 고도 정밀유도병기들을 모두 우리 손으로 설계하고 제작했다.

우리의 국산 유도탄 시험발사 성공에 일본 언론계를 비롯한 외신들이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간추리면 한국의 미사일개발 성공이 동북아 정세에 큰 영향을 줄 것이며 군사능력면에서 북괴를 앞질렀으며 곧 양산체재를 갖춰 이를 일선에 배치할 것으로 본다는 등으로 요약된다.
 
2

한마디로 충격적인 반응을 외신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물론 그들의 반응과 분석에 우리로서 무관심할 수 없는 것이지만 우리는 우리의 입장에서 우리가 거둔 우리의 의의를 먼저 음미하고 평가하는 순서가 앞서야 하겠다.

우리의 목하의 최대의 과제는 한반도에서 전쟁을 저지하는데 있다. 북괴로 하여금 무력에 의한 남침야망을 단념케 하는데 우리는 온갖 노력과 역량을 쏟아 왔다. 이 우리의 노력이 이번의 유도병기개발 성공으로 진일보의 성과를 거둘 것을 우리는 믿고 싶다. 국민이 감격과 함께 한가지로 공감하는 바가 바로 그 점임을 우리는 인식한다.

ID : 223.62.***.106
2022-03-27
20:37:40


*


1978.9.26. 유도탄 시험발사 성공




[ 적중하는 광경을 컴퓨터 스크린으로 지켜본 젊은 연구진들이 서로 얼싸안고 울었다

우리도 감명과 실오라기만한 틈새도 없는 공감을 함께 .

모두 우리 손으로 설계하고 제작했다.


우리의 국산 유도탄 시험발사 성공에 일본 언론계를 비롯한 외신들이 즉각적인 반응을 ]



[ 국가발전 추세에 대한 국민의 자신감이 획기적으로 고무되었다 ]



1978.9.28. 조선일보 사설



사설


유도병기의 개발성공

- 평화의 이정을 앞당기는 감명의 개가




1


자주국방과 안보에 대한 국민적 자신감이 또 한단계 높아졌다. 현대 무기의 첨단으로 일컬어지는 고도 정밀 유도병기인 유도탄 순전히 우리의 손으로 개발되어 그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26일 박대통령 임석아래 실시된 국산유도탄 시험발사 성공광경을 보도하면서 보도진은 지각을 찢는 폭음과 함께 한치의 오차도 없이 유도탄은 수직으로 목표물에 명중했다고 전했다. 특히 장거리 유도탄이 1단계 로키트를 떼어내고 2단계 로키트를 점화, 눈 깜작할 사이에 시야를 벗어나 정확하게 궤도를 비행한 다음, 목표물에 적중하는 광경을 컴퓨터 스크린으로 지켜본 젊은 연구진들이 서로 얼싸안고 울었다고 또한 전했다. 우리도 그 장소에 있어서 모든 광경을 지켜본 것이나 다름 없는 감명과 실오라기만한 틈새도 없는 공감을 함께 가지게 된다. 40세 안팎의 젊은 연구진이 어찌 감격의 눈물을 흘리지 않았겠는가. 그들 젊은 과학도들의 두뇌와 손과 국가에 대한 충성과 애정이 그것을 성공시키는 기술책임을 맡았었고, 그리고 마침내 개가를 올린 것이다.


이날 시험발사에는 장거리 지대지 유도탄을 필두로 중거리 유도탄, 쉴 새 없이 적진을 강타하는 다련장로키트, 대전차 로키트 등이 등장했다. 이들 고도 정밀유도병기들을 모두 우리 손으로 설계하고 제작했다.


우리의 국산 유도탄 시험발사 성공에 일본 언론계를 비롯한 외신들이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간추리면 한국의 미사일개발 성공이 동북아 정세에 큰 영향을 줄 것이며 군사능력면에서 북괴를 앞질렀으며 곧 양산체재를 갖춰 이를 일선에 배치할 것으로 본다는 등으로 요약된다.



2


한마디로 충격적인 반응을 외신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물론 그들의 반응과 분석에 우리로서 무관심할 수 없는 것이지만 우리는 우리의 입장에서 우리가 거둔 우리의 의의를 먼저 음미하고 평가하는 순서가 앞서야 하겠다.


우리의 목하의 최대의 과제는 한반도에서 전쟁을 저지하는데 있다. 북괴로 하여금 무력에 의한 남침야망을 단념케 하는데 우리는 온갖 노력과 역량을 쏟아 왔다. 이 우리의 노력이 이번의 유도병기개발 성공으로 진일보의 성과를 거둘 것을 우리는 믿고 싶다. 국민이 감격과 함께 한가지로 공감하는 바가 바로 그 점임을 우리는 인식한다.


다음으로 국가발전 추세에 대한 국민의 자신감이 획기적으로 고무되었다는 사실을 우리는 확인했다. 세계 7번째라는 유도병기의 독자적 개발성공은 고도의 자본기술 집약적인 현대산업의 토대 마련 없이는 불가능한 작업이다.

..









1978.9.27. 동아일보



[ . 미사일을 자체개발하는데 성공 . 독자적인 무기체계를 갖추는데 획기적인 진전을 ..


한국은 이제 국제사회에서도 만만찮은 세력단위로 .

국민총체적인 자신감을 불어넣어 .. ]




1978.9.27. 동아일보



국산미사일 시험발사 성공의 의의



한국방위산업 북괴 압도

인적국방 넘어 물적국방으로
힘에 의한 전쟁억지효과 기대



하루가 다르게 발전을 거듭해온 한국방위산업은 26일 낮 현대전의 총아라 불리는 미사일을 자체개발하는데 성공, 그 시험발사를 마침으로써 독자적인 무기체계를 갖추는데 획기적인 진전을 이룩했다. 비록 북괴보다 뒤늦게 방위산업에 손을 댔지만 이번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끝낸 미사일들은 북괴의 어떤 무기보다도 월등하게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남북의 군비경쟁에서 우리가 북괴를 단연 압도하고 있음이 증명된 셈이다.



이번 미사일의 개발로 전장에서의 우위는 물론 전쟁억지라는 전략적효과와 함께 한국은 이제 국제사회에서도 만만찮은 세력단위로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또 국민들에겐 주한미군철수에 따른 심리적 불안을 씻어주는데 큰 몫을 하는 것은 물론 경제력등 국력이 뒷받침 돼야 하는 고도의 자본 기술집약적인 고도정밀유도병기의 개발로 국민총체적인 자신감을 불어넣어 줬다는 것도 큰 의의로 꼽을 수 있다.



북괴는 채산성과 국제경쟁력을 무시한채 군수산업, 특히 병기생산에 주력하여 60년대초부터 군비생산에 들어가 초반의 우세를 보였었다.


우리는 경공업 -> 중화학공업의 순서에 따라 차근차근이 기술을 쌓아올려 대형기계의 경우 생산능력은 갖고 있으면서도 경제성의 원칙 아래 대량생산이 어렵거나 수요가 많지않은 제품은 생산하지 않았으나 생산바탕만은 오래전부터 확보돼 있었다는 것이다.


이같은 바탕위에서 우리의 방위산업이 실질적으로 시작된 것은 지난 72년부터다.


71년 미7사단의 철수를 계기로 자주국방의 각오와 결의는 한층 두터워졌고 국방부는 71년 봄 미국의 M16 소총생산회사인 '콜트'회사와 M16생산공장 국내건설계약을 체결, 이듬해 완공하여 73년부터는 양산체재에 들어갔다.


이어 74년 월남사태 후 우리의 독자적인 전력증강계획은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됐으며 75년에는 방위성금 이외에 방위세를 신설 , 75-77년 3년간 6천4백83억원이 걷혀 방위산업의 밑거름이 됐다.



주한미지상군의 철수계획이 굳어져 가면서 우리의 방위산업은 더욱 채찍질을 가해 여러 분야에서 당초의 계획이 앞당겨지기 시작했다. 미군의 철수는 사람만의 철수가 아니라 상당한 병기의 철수도 수반되는 것으로 봐야 하기 때문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작년 4월 수년내 전투기를 제외하고 완전히 자급을 실현하는 것이 과제라고 천명했다.

이어 금년초에는 항공기공업 착수, 미사일의 개조생산 착수, 해군함정의 건조취역 등의 계획을 밝혔다.



이같은 청사진의 제시와 함께 직년 6월에는 그동안 결실을 본 국산병기들이 첫선을 보이고 화력시범도 있었다.


이때 전시된 것은 연발과 단발외에 3점사가 가능한 M16의 개량형인 한국형 소총 핵투발능력을 가진 155mm 곡사포 20mm 대공발칸포 105mm 곡사포 81mm박격포 60mm박격포 4.2인치 박격포 3.5인치로케트포 M79유탄발사기 90mm무반동총 106mm무반동총과 회전익의 다복적 헬리콥터 산악전용 경장갑차 그리고 월남전 당시 신병기로 위력을 떨쳤던 스마트폭탄 등 각종 실포탄류 등이었다.

이런 것들은 모두 북괴의 그것들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년 4월에는 고성능 국산 전치가 양산체재에 들어갔음이 밝혀졌다.

미국의 M60A1 전차와 동일한 화력 및 기동력을 갖고 있으면서도 가격은 그 절반밖에 안되는 M48A3 M48A5가 그것이다. 믹구이 주한 미군을 철수시키면서 한국에 이양할 장비중에 M48전차도 들어있으나 M60형 전차는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한국형 M48 전차를 개발, 양산체재에 들어간 것은 시기적절한 조치라 볼 수있다.


전차의 경우 북괴는 한해에 수십대씩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기계공업의 척도인 철강생산 분야에서 70년까지의 북괴우세가 역전됨으로써 이젠 전차 생산에서도 우리가 제압할 수 있게 됐다.

이미 헬리콥터를 생산하고 있는 항공분야는 80년대에 착수를 목표로 했던 항공기제작산업을 앞당겨 금년안에 착수키로 했으며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092700209203001









1978.10.1.



[ 『남의 장비를 받아쓰던 군대』가 『자기 기술로 갖춘 자립의 군대』로 .


한국형 중·장거리 유도탄의 위용은 우리 국방 과학 기술이 북괴보다 얼마나 앞섰는가를 국민에게 확신 ..


유비무환 총화 안보로 온 국민이 보다 더 굳게 단결해야 ]




자기 기술로 갖춘 자립의 군대



중앙일보

1978.10.02



건군 30주년을 맞았다. 우리 국군도 이제 장년의 문턱을 넘어섰다.


1일 「국군의 날」사열이 벌어진 5·16광장은 각종 국산 신예 장비로 뒤덮이고, 이제 성년기를 지나 장년기 에 들어선 국군 장병의 늠름한 사기는 가을 하늘 높이 치솟았다.

보무 당당한 시가 행진을 거리에서, 또는 「텔리비젼」을 통해서 눈여겨본 성숙 된 국군의 모습에 온 국민은 자립 안보에의 긍지를 함께 재확인했다.



48년 정부 수립과 함께 태어난 국군은 젖도 떨어지기 전에 여순 반란 사건을 겪었고 걸음마도 채 익히기 전에 6·25동란으로 시련을 당했다.

그러나 각고 30년-. 북괴의 끊임없는 무력 도발과 월남전 파병 등으로 국군은 연마와 단련을 거듭, 강철처럼 굳세졌다.
창군 당시의 구구식 소총은 전군이 우리 몸에 맞는 국산 M-16으로 바꿔 갖게 됐다. 그밖에도 각종 박격포 「로키트」포·무반동총·l05㎜·155㎜곡사포·최신 대공 「벌컨」포·장갑차·「탱크」, 그리고 고속 함정·무장 「헬리콥터」 등이 자급되어 우리 국군은 완전히 최신 과학 무기 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남의 장비를 받아쓰던 군대』가 『자기 기술로 갖춘 자립의 군대』로 완전 탈바꿈한 셈이다. 더구나 만인 앞에 이날 공개 된 한국형 중·장거리 유도탄의 위용은 우리 국방 과학 기술이 북괴보다 얼마나 앞섰는가를 국민에게 확신시켰다.


<자립 안보에의 긍지>

.

또 이미 양산 체제를 갖춘 국산 「탱크」 대열의 굉음은 방위 산업의 성과를 눈으로 확인케 했다. 이 모든 것은 주한 미지상군 전투 병력 제1진이 철수되는 올해 우리 국군이 이제 충분히 자립할 수 있는 장년으로 성장했고, 기어이 장비도 자립의 터전을 이룩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이제 우리는 그밖에도 국산 항공기의 생산을 서두르고 있다. 이미 몇 개 중공업 회사에서는 비행기용 「제트·엔진」 제작 연구에 돌입했다. 80년대 중반에는 국산 항공기와 고도의 정밀 전자 병기가 국내 생산될 것이다. 이렇듯 방위산업의 기틀은 이제 완전히 다져졌고 새로운 과학 무기 체계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자주국방 태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군인들의 정신 전력과 의연한 군기다. 이와 함께 또 중요한 것이 국민의 국방에 대한 일체감이라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세계에서 가장 호전적 집단인 북괴와 맞서 있는 우리로서 내 국토를 내가 지킨다는 것은 우리에게 부여된 시대적 사명이요, 민족적 소명이다.

그 동안 초전 박살과 신념으로 몸과 마음을 다져 온 국군 64만 장병은 도 전술 전기의 교육 훈련으로 눈코 뜰 사이가 없다.


.

한편 최근 한반도 주변의 동북아 정세는 많은 변화와 미묘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일·중공 우호조약과 일본의 재무장 추세, 그리고 소련의 극동 함대 증강과 미지상군 철수 등은 세계의 눈길을 동북아로 쏠리게 하고 있다.


<미묘한 동북아 정세>


이 열강들 틈바구니 속에서 확고한 통일에의 의지를 되새기고 자주권의 독립을 계승해 나가려면 스스로 자위력을 증강하는 길밖에 없다는 것은 너무도 자명하다.

..

북괴는 1백55「마일」휴전선 가까이에 비행장 등을 만들고 기습 공격할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 동북아 정세가 미묘한 만큼 우리는 그때 그때의 상황에 대처할 슬기를 몸에 익히지 않으면 안 된다.


유비무환의 정신 아래 만사에 대비하는 역사적 교훈을 되새기며, 총화 안보로 온 국민이 보다 더 굳게 단결해야 할 것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1493337








*


1961.5.16. '혁명공약'



..

4. 절망과 기아선상에서 허덕이는 민생고를 시급히 해결하고 국가자주경제 재건에 총력을 경주한다.


5. 민족적 숙원인 국토통일을 위하여 공산주의와 대결할 수 있는 실력 배양에 전력을 집중한다.

.










1964.6.3. 한일협상 결사 시위


2007.1.26 민주화운동 보상법 개정안. '69년 3선개헌 투쟁'부터로 돼 있던 보상대상자를 1964.3.24. 이후로 하여 6.3 포함하게 앞당김.









2016.12. 이재명



[ 박정희로 대표되는 친일매국 쿠데타 세력으로 이는 보수의 영역이 아니고 쓰레기 영역이다 . ]


..

또한, 이 시장은 “지금까지 민주공화국의 가치를 훼손한 것은 박정희로 대표되는 친일매국 쿠데타 세력으로 이는 보수의 영역이 아니고 쓰레기 영역이다”라고 질타한 뒤 “이런 보수의 탈을 쓴 부패한 세력을 도려내고 이재명 같은 사람이 보수의 영역을 차지해야 맞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http://www.jajusibo.com/sub_read.html?uid=30805§ion=§ion2=

이재명 성남시장의 ‘혁명론’ 직접 들어보니
"공정 질서 구축하고 집단지성의 유기적 인격체 믿어야”

송영한 기자
2016/12/20








2017.7.


[ .. 박정희 탄생 100주년 기념우표 발행을 재심의해 뒤집어버렸다. . ]


2017.7.31.


‘대중독재’의 그림자


오승훈 경제산업부장




그리고 2017년 7월, 대통령 탄핵과 재판 국면에서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두 달 만에 우정사업본부는 ‘우상화 ’를 외치는 진보 시민단체들의 압박에 지난해 결정했던 박정희 탄생 100주년 기념우표 발행을 재심의해 뒤집어버렸다. 기념사업들도 취소되고 있다.


반면 노무현재단은 2020년까지 서울 창덕궁 인근에 노무현센터를 건립하기로 했고, 경남 김해 봉하마을의 노무현기념관도 조만간 착공에 들어간단다.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073101033011000001









2019.7. 조국


[ "‘죽창가’를 잊고 있었다" .. ]


[김광일의 입] 폭주하는 조국… 그 뒤에 숨은 속셈



김광일 논설위원

입력 2019.07.22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왜 이러는 걸까. 조선일보는 지난 9일간 그가 내보낸 반일(反日) 메시지가 무려 42건이라고 했고, 중앙일보는 최근 나흘 동안 17건이라고 했다. 어느 쪽이든 조국 수석은 하루 4건~5건, 페이스북에 반일 메시지를 쏟아놓고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조국 수석은 지난 13일 민중봉기를 부추기는 노래 "‘죽창가’를 잊고 있었다"며 선전 선동을 본격화했다. 18일엔 "‘좌냐 우냐’가 아닌 ‘애국(愛國)이냐 이적(利敵)이냐’ 이다"라고 했다.










2019



文 "남북 평화경제 실현땐 단숨에 日경제 따라잡는다" [전문]



[중앙일보] 2019.08.05

권호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5일 “평화경제가 실현되면 단숨에 일본 경제의 우위를 따라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일본 경제가 우리 경제보다 우위에 있는 것은 경제 규모와 내수시장”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한·일 갈등을 남북 관계 개선과 연결지은 것이다.




문 대통령 수석.보좌관 회의 모두 발언 전문


.

이번 일을 겪으면 우리는 평화경제의 절실함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본경제가 우리 경제보다 우위에 있는 것은 경제 규모와 내수시장입니다. 남북 간의 경제협력으로 평화경제가 실현된다면 우리는 단숨에 일본경제의 우위를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

https://news.joins.com/article/23544206








*


..

군사적으로는 한국의 4배를 초과하는 해군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일본내 우익세력은 물론이고 군사관계자 대부분 한국과의 무력분쟁시 해상봉쇄만으로 3개월~1년 이내에 항복을 받아낼 수 있는 것으로 자평함.











***



[ .. 생명을 건 희생적 노력을 . ]



박정희 제5대 대통령 취임사

1963년 12월 17일


..

인간 사회에는 피땀 어린 노력의 지불 없는 진보와 번영이란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격동하는 시대, 전환의 시점에 서서, 치욕과 후진의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 의 세대에 생존하는 우리들의, 생명을 건 희생적 노력을 다하지 않는 한, 내 조국, 내 민족의 역사를 뒤덮은 퇴영의 먹구름은 영원히 걷히지 않을 것입니다.


http://15cwd.pa.go.kr/korean/data/expresident/pjh/speech.html







[가까이에서 본 인간 박정희]


내 일생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조인스] 2015.02.26

[J플러스] 김두영 전 청와대 비서관




박정희 대통령이 재임기간 중 역사적인 결단을 해야 할 순간에 “내 일생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라는 말을 하거나 휘호를 써서 본인의 각오와 결연한 의지를 표명한 경우가 있었다. 이 단문(短文) 속에는 목숨을 걸고 거사를 결행한 한 혁명가의 굳은 결의와 그가 걸어온 길과 가야 할 길의 비장함이 함축되어 있다. “내 일생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라는 말을 박정희 대통령만큼 당당하게 말한 지도자가 누가 있는가.

.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3196840







*


..

朴대통령은 말년에 청와대출입 기자들과 술을 마시면 『내 무덤에 침을 뱉으라』면서 당대의 인기에 구애받지 않고 소신대로 하여 역사에 대하여 책임을 지겠다는 결의를 자주 보이곤 했다고 한다.






추천 소스보기
답변 목록
이전글 : 문의는 어디서 드리면 될가요 (2022-02-27 03:59:51)
다음글 : 항상 좋은 기사 기다리고 있습니다 (2022-05-25 01:18:09)